다문화 바베큐와 함께 한, AMC-Factory 첫 워크샵
<2012 변화의 시나리오 -인큐베이팅> 선정단체 AMC-Factory 아름다운재단은 공익단체와 그 사업을 지원합니다. 그 동안은 이미 열심히 활동을 하고 있는 단체들의 사업만을...
코로나 바이러스가 전 세계를 휩쓴 2020년은 누구나 고통스러운 시절이지만, 그 고통은 결코 평등하지 않게 우리 사회의 가장 약한 존재를 먼저 타격한다. 독립된 경제적·사회적 지위를 인정받지 못하는 청소년도 이런 약한 존재 중 하나이다. 과연 코로나는 청소년의 인권에 실제로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을까? 많은 활동가가 휘청거리는 이때, 청소년 공익활동가들은 어떤 삶을 살아내고 있을까?
학교 안의 학생모임, 학생인권조례 제정을 위한 단체, 지역 기반의 청소년 단체, 학내 인권 동아리, 청소년인권단체, 사회개혁을 위한 청소년당사자단체, 학생자치회 등에서 활동했던 청소년 활동가 10명의 이야기이다. 이들은 모두 스스로의 힘으로 청소년단체를 만들고 활동을 꾸리고 또 해산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청소년 활동가들이 서로에게 질문하고 답하며 단체의 운영과 해산 과정에서 얻은 교훈을 기록했다.
선거권은 청소년의 정치적 권리의 일부에 불과하다. 사회에는 청소년이 동등한 시민으로서 살아가는 데 여전히 많은 제약이 있다. 18세 선거권 보장을 계기로 청소년에게 더 많은 정치적 권리 보장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해 나가는 과정이 중요하다. 18세 선거권은 청소년 참정권 보장의 시작이다.
<2012 변화의 시나리오 -인큐베이팅> 선정단체 AMC-Factory 아름다운재단은 공익단체와 그 사업을 지원합니다. 그 동안은 이미 열심히 활동을 하고 있는 단체들의 사업만을...
중고등학교때는 입시위주의 교육만 받아오다가 낭만적(?) 대학생활을 꿈꾸며 대학에 입학을 했지만, 기다리고 있었던 것은 치솟을 대로 치솟은 대학 등록금,...
따르르르릉~ “00 간사님 계세요? “ ” 네, 전데요?” ” 간사님, 간사님~ 있잖아염~ 근데 말이에요” ” 누…구..시…?” ” 아~~ 저는...
1편 보러 가기 2편 보러 가기 네덜란드 Amersfoort에 퍼진 1% 나눔의 변화 제3편: 유럽에서 발견한 아시아 연대의 씨앗 ...
네덜란드 Amersfoort에 퍼진 1% 나눔의 변화 제2편: 변화의 시나리오 사례 발표 소감문 작성자: 이주영 ODA Watch 청년활동가...
아름다운재단은 공익단체 활동가들이 숨가쁜 일상 업무에서 벗어나서, 조바심 내지않는 여유를 되찾기를 바랍니다. 또한 신선한 열정을 가득 채워 돌아와 공익의 길에 다시...
얼마 전, 우리나라 청소년의 ‘이웃과 더불어 사는 능력’이 세계 최하위 수준 이라는 발표가 나왔다. ‘입시지옥’에 사는 청소년들한테 주변...
인천에서 양곤까지… 28시간. 여름휴가를 다녀오는 김에, 2008년부터 재단이 지원해오는 <뺨쀼렉 마을도서관>을 다녀오기로 했습니다. 이 도서관은 우리나라의 버마(미얀마) 이주민과 현지 사람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