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가이야기주간] 닫힌 이야기를 여는 4개의 카드들
지역 활동가가 삶과 활동에 대해 편하게 이야기 나누고, 시민사회 안에서 고민해 볼 지점을 동료 활동가와 함께 나눌 수 있는 활동가이야기주간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활동가이야기주간 동안 풍성한 이야기 풍경을 만들어준 ‘이야기도구‘를 소개합니다.
아름다운재단의 창립 20주년을 기념하여, 기부자님들의 나눔에 담긴 마음처럼 향긋한 <나눔티>를 만들었습니다. <나눔티>의 홍보 영상을 촬영하고자 김준엽 기부자님의 가족을 모셨습니다. 가족 분들과 대면, 서면 인터뷰 진행 후 김채은양의 시점으로 인터뷰를 정리해보았습니다.
북극을 떠나 어쩌다 사막에 도착한 방곰이, 홀로 떠돌다 더위에 지쳐 쓰러지고 말았습니다. 그때, 멀리서 방곰이를 지켜보는 낯선 존재들이 다가옵니다.
산업재해보상보험법 1조에는 “근로자의 업무상 재해를 ‘신속’하고 ‘공정’하게 보상”하는 것이 산재보험의 목적이라 적혀 있다. 아름다운재단의 ‘산재보험 사각지대 해소 및 형평성 강화를 위한 연구’ 결과 지금의 산재보험은 신속하지도 공정하지도 않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2020년 아름다운재단은 산재보험에 가입조차 어려운 노동자 집단인 돌봄노동자. 농어업 노동자, 이렇게 세 집단에 주목했다.
지역 활동가가 삶과 활동에 대해 편하게 이야기 나누고, 시민사회 안에서 고민해 볼 지점을 동료 활동가와 함께 나눌 수 있는 활동가이야기주간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활동가이야기주간 동안 풍성한 이야기 풍경을 만들어준 ‘이야기도구‘를 소개합니다.
2020 안동청년공감네트워크가 펼친 주요 활동 이야기! 이들은 청년을 중심으로 안동 지역의 사회문제를 발굴하고 함께 고민하는 중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역 이슈에 대한 안동 청년들의 솔직한 이야기를 들어보는 아무말 대잔치를 소개합니다. 청년의 목소리가 들리는, 조금은 다르게 살아도 괜찮은 안동을 만드는 이야기입니다.
지역사회에서 여성 리더와 활동가들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을까요? 여성은 지역 안에서 성공하고 성장할 충분한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까요? 2020 안동청년공감네트워크가 펼친 주요 활동을 세 번에 걸쳐 소개합니다. 이번 이야기는 경북 북부에 위치한 안동, 상주, 문경의 시민 의정참여 및 예산모임 활동에 대한 에피소드입니다.
지역사회에서 여성 리더와 활동가들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을까요? 여성은 지역 안에서 성공하고 성장할 충분한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까요? 2020 안동청년공감네트워크가 펼친 주요 활동을 세 번에 걸쳐 소개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안동 언니들의 활동과 삶에 들어보는 2020 동네대학 ‘동네언니’ 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름다운재단과 지리산 작은변화지원센터는 지리산 작은변화지원센터의 지난 2년간의 여정을 시민사회와 공유하고, 앞으로 지역 시민사회 지원의 방향성을 모색해 보는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지역 시민사회지원 사례공유 워크숍 이 바로 그 자리였는데요. 온라인으로 진행된 워크숍은 전국 비영리활동 중간지원조직의 실무자 50여명을 대상으로, 아름다운재단과 지리산 작은변화지원센터의 지역 시민사회 지원방식을 소개하고, 대구시민공익활동지원센터, 홍성 마을활력소의 지역 시민사회지원 사례를 공유하는 시간으로 꾸며졌습니다.
아름다운재단은 지역 시민사회 활성화를 위한 지원사업 중 하나로 ‘지리산 작은변화지원센터’를 지리산이음과 함께 설립, 운영합니다. ‘지리산 작은변화지원센터’는 ‘사람’과 ‘과정’을 중심에 두고, 지역 현실을 반영한 지원사업으로 지역 공익활동에 마중물이 되고 있습니다. 그간의 활동을 바탕으로 최근 발행된 지리산 작은변화지원센터 활동성과 연구보고서가 발행됐습니다. 해당 보고서를 살펴보면 육하원칙에 따라 사업취지, 사업목적, 사업방식, 사업주체, 사업대상, 그리고 사업기간을 평가기준으로 삼았습니다.
아름다운재단의 지역시민사회네트워크 지원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안동청년공감네트워크는 시 예산에 대한 시민들의 공통의 관심사를 모으는 ‘안동시민예산학교’를 열었습니다. 6주 간 시민들과 함께 안동시의 예산 및 시정에 대해 공부하며 기록한 이야기를 공유합니다.
고백하건대 저는 활동가 당사자이면서 여전히 활동가란 단어가 낯선 사람입니다. 그래서 진부하긴 하지만 활동가를 사전에서 찾아봤습니다. 활동가는 ‘어떤 일의 성과를 거두기 위하여 적극적으로 힘쓰는 사람’을 일컫는다고 합니다. 이 정의에 따르면 저는 활동가라는 정체성과 더 멀어지네요. 그럼에도 저는 스스로를 활동가라 부르고 싶습니다.
<지리산 작은변화지원센터 OO입니다>는 사무국 활동가 5인이 지난 3년간 활동가로, 산내면 주민으로, 청년으로, 디자이너로, 전 활동가로, 신규 활동가로서 보낸 시간과 경험들을 기록한 기획 인터뷰입니다. 이 인터뷰 모음을 통해 지금까지 담당 업무와 현장 사례에 가려져 찬찬히 알아볼 기회가 없었던 사무국 활동가 나비, 누리, 재향, 쭈이 그리고 하무를 더 자세히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지리산 센터를 떠나 이제는 카페 토닥 운영에 집중하고 있는 나비를 이번 활동가 인터뷰를 핑계 삼아 다시 한번 만났다. 활동가들의 2년을 회고해 보자는 이번 인터뷰 취지를 적극 살리기 위해서는, 지리산 센터 설립부터 2년을 꼬박 함께 해 온 나비의 이야기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우여곡절 많았던(!) 지리산 센터의 살림살이를 도맡아 살뜰히 챙겨 온 나비는 지난 2년을 어떻게 보냈고 또 어떻게 기억하고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