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재의 지대넓얕] 즐거운 상상, 기본소득
기본소득의 개념은 간단합니다. 모든 시민에게 아무런 자격이나 조건에 상관없이 일정한 소득을 보장하는 것입니다. 다만 조건이 있습니다. 보편성(부자에게도 준다), 무조건성(노동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개별성(개인별로 지급한다).
주경민 캠페이너는 보호종료아동의 삶에 대한 메세지를 담아 캐릭터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주경민 캠페이너가 하고 싶은 말은 뭘까요? 어떤 마음의 변화가 생겼을까요? ‘가치가 사람들에게 전달되는 그림작업’을 하고 싶다는 그의 이야기를 전합니다.
아름다운재단의 가장 오래된 사업 중 하나는 ‘변화의시나리오 프로젝트 지원사업’입니다. 2004년 첫 공모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많은 변화를 겪으며 시민사회의 다양한 공익활동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아름다운재단 20주년을 맞아 변화의시나리오 프로젝트 사업이 어떻게 성장하고 발전했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사실 저는 디자인의 ‘디’도 모르는 간사입니다. 그림도 정말 눈코입만 그릴 수 있고요. 근데 일을 하다보니 글만으로는 부족하더라고요. 특히 이미지 기반의 포스터, 카드뉴스, 썸네일 콘텐츠가 꼭 필요한 경우가 너무 많아요. ‘기획의도를 가장 잘 아는 건 나인데, 디자인을 하기가 너무 힘들다’ 하시는 분들을 위해 우선 가장 먼저 준비해야 할 다섯가지를 챙겨드립니다.
기본소득의 개념은 간단합니다. 모든 시민에게 아무런 자격이나 조건에 상관없이 일정한 소득을 보장하는 것입니다. 다만 조건이 있습니다. 보편성(부자에게도 준다), 무조건성(노동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개별성(개인별로 지급한다).
한국 기부단체들의 활동이 아프리카나 최빈민국 어린이들을 돕는 데 집중적으로 쏠려 있는 것 같다. 미국에서 돌아와 아름다운재단 일을 맡으면서 가장...
태풍과 홍수보다 위험한 재해인 폭염의 기승에 아름다운재단은 <홀로사는 어르신을 위한 無더위 캠페인>을 지난 7월 18일부터 전개하고 있습니다. 폭염이...
아름다운재단이 2010년을 기점으로 출범 10주년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예로부터 십년이면 강산도 변한다고 합니다만, 요즘 세상의 변화 속도를 감안하면 지난...
초고액기부를 ‘명예’라 정의하면,소액기부자들과 자원활동가들의 소리없는 나눔은 뭐라 불러야 하나 이번 정기국회에 ‘명예기부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불편한 진실을 폭로한 대가로 그들이 겪는 고통은 우리에게 침묵과 불감증을 강요한다 “김영수 소령님, 올해 ‘빛과 소금상’ 수상자로 선정되었습니다.” “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