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자발적 여행활동 지원 사업 ‘길 위의 희망 찾기’] 베트남에서 만난 새로운 나 -안남배바우작은도서관
안남배바우도서관에 모인 여덟 명의 청소년들은 여행은 고됐지만 언제든 다시 떠날 마음이 있다고 말했다. 여행이 새로운 나와의 만남을 선물해준다는 걸 배웠기 때문이다. 그래서 앞으로 어디로 떠나든 이번 자발적 여행은 그들의 여행의 디딤돌이 되어줄 것이다.
주경민 캠페이너는 보호종료아동의 삶에 대한 메세지를 담아 캐릭터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주경민 캠페이너가 하고 싶은 말은 뭘까요? 어떤 마음의 변화가 생겼을까요? ‘가치가 사람들에게 전달되는 그림작업’을 하고 싶다는 그의 이야기를 전합니다.
아름다운재단의 가장 오래된 사업 중 하나는 ‘변화의시나리오 프로젝트 지원사업’입니다. 2004년 첫 공모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많은 변화를 겪으며 시민사회의 다양한 공익활동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아름다운재단 20주년을 맞아 변화의시나리오 프로젝트 사업이 어떻게 성장하고 발전했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사실 저는 디자인의 ‘디’도 모르는 간사입니다. 그림도 정말 눈코입만 그릴 수 있고요. 근데 일을 하다보니 글만으로는 부족하더라고요. 특히 이미지 기반의 포스터, 카드뉴스, 썸네일 콘텐츠가 꼭 필요한 경우가 너무 많아요. ‘기획의도를 가장 잘 아는 건 나인데, 디자인을 하기가 너무 힘들다’ 하시는 분들을 위해 우선 가장 먼저 준비해야 할 다섯가지를 챙겨드립니다.
안남배바우도서관에 모인 여덟 명의 청소년들은 여행은 고됐지만 언제든 다시 떠날 마음이 있다고 말했다. 여행이 새로운 나와의 만남을 선물해준다는 걸 배웠기 때문이다. 그래서 앞으로 어디로 떠나든 이번 자발적 여행은 그들의 여행의 디딤돌이 되어줄 것이다.
모든 게 낯선 베트남에서 보내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아이들은 어디론가 떠나기 위해서는 무언가 해야 한다고 느끼는 걸까. 함께하는 여행에서 뭘 먹고 뭘 볼지 고민하는 건 결코 어른만의 일이 아니었다. ‘청소년자발적여행활동지원사업’을 통해 아이들은 진짜 여행을 경험했다.
비행기에서 내리자마자 어떤 애는 집에 가고 싶댔다. 아직 공항 밖을 나가지도 않았지만 베트남의 습한 기후와 여행지의 복잡함을 상상할 수 있었다. 11명이나 되는 사람들과 4박5일을 그것도 여행이라는 걸 해야 한다니, 나 역시 집에 가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길 위의 희망찾기(청소년자발적여행활동지원사업)를 통해 자발적 여행을 다녀온 십대들의 이야기를 담은 책 ‘어른은 빼고 갈게요!’가 지난 2018년 6월 출간되었습니다. 이 책이 탄생 되기까지 고우정 작가의 수 많은 취재 인터뷰와 밤을 지새우는 올빼미 원고 작업이 있었는데요. 고우정 작가는 여행책을 쓰다가 지금은 여행자들을 가장 가까이에서 만나는 게스트하우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남해의 작은 마을 동천리에 자리잡고 있는 몽도 게스트하우스에서 보내 온 고우정 작가의 작업 후기를 전합니다.
정기인 선생님의 바람은 이 ‘자발적 여행’을 계속 이어가는 것이다. 방학만 되면 바다로, 계곡으로 떠나는 학교 친구들과 달리 센터 아이들에게는 여행의 기회가 많지 않다. 이 아이들에게 이번 여행은 문득문득 떠올릴 수 있는 추억이자, ‘나 이런 것도 해봤어’하는 자신감이다. 집(센터)을 떠나보는 경험도 소중하다. 센터 안에서는 받는 것에 익숙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처음에는 뒤로 물러서던 아이들이 여행을 통해 스스로 성장해나가는 과정이 신기하다.
‘길 위의 희망 찾기’ 공모전을 접하고 이에 도전하기로 결심한 3월은 지원신청서 작성에 매진했다. 이 여행을 왜 가고 싶은지, 여행을 통해 내가 꿈꾸는 바는 무엇인지, 6명 모두 깨알 같은 글씨로 솔직한 제 목소리를 담아냈다. 서류심사 통과 후 4월엔 프레젠테이션과 질의응답으로 이루어진 면접을 치렀다. 발표자론 용규․민서․윤기가 나섰는데, 발랄한 용규와 꼼꼼한 민서, 엉뚱한 윤기의 캐릭터를 십분 발휘해 면접까지 좋은 성적을 거두며 지원대상 팀으로 선발됐다.
스리랑카의 첫날, 콜롬보 공항에서 만난 택시기사처럼 좋은 인연이 됐다. 산티푸라 마을에 있는 자신의 집을 통째로 아이들의 숙소로 내준 것. 아이들은 보다 저렴한 가격에 산속 차밭마을에 자리한 민가에 묵게 된 걸 행운으로 여겼다. 집 한 채를 빌린 덕분에 매일 아침과 저녁을 지어 먹으며, ‘일상적인 여행’이 가능해진 까닭이다. 길 위에서 만난 좋은 인연은 그처럼 좋은 길을 열어주었다.
한유리(16세), 배준영(16세), 김보경(17세), 하헌석(17세), 류하안(17세), 이정민(18세). 이상 6명은 열일곱인생학교에서 만난 친구들이다. 열일곱인생학교는 고등학교 진학을 앞두고 1년 동안 정규 교육과정을 벗어나 자신의 삶과 꿈을 탐색해보는 단기 대안학교다. 스스로 선택한 ‘십대의 안식년’을 알차게 보내기 위해 아이들은 제각각, 혹은 협업을 통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자발적 여행도 그 흥미로운 모의 중 하나로 시작됐다.
처음부터 끝까지, ‘우리들의 버킷 리스트’로만 달린 여행이었다. 공정여행에 대한 공부도 했고, 오사카의 다문화적인 특성에 대해 알아보자는 선생님의 의견도 귀담아 들었지만, 가장 중요한 건 ‘내가 진짜로 원하는 것’이었다. 테마파크에선 하루종일 놀아야 하고, 편의점 간식부터 전통음식점까지 먹방은 계속되어야 하며, 풍경사진보단 인증샷과 인생샷이 중요한 우리들만의 취향으로 가득 채운 여행. 십대의 솔직한 욕망을 나침반 삼은 4박 5일간의 오사카&고베 여정은 그렇게 마침표를 찍었다.
8명의 청소년으로 결성된 시나브로는 ‘모르는 사이에 조금씩 조금씩’을 뜻하는 팀명처럼, 여행을 준비하며 시나브로 서로를 알아가고 길 위에서 시나브로 가까워졌다. 헤르켄토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테마로 환경, 인권, 평화에 대해 공부하고 고민해온 아이들은 이같은 관심 이슈를 제주 여행에 접목해보기로 했다. ‘길 위에서 시간을 만나다, 제주’ 프로젝트는 그렇게 시작됐다. 제주의 과거와 현재 모습을 비교해 변화를 살피고, 변화의 원인과 결과에 대해 고민해보기 위한 3박 4일 간의 여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