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에서On소식] 아무 말부터 시작해 보자!
2020 안동청년공감네트워크가 펼친 주요 활동 이야기! 이들은 청년을 중심으로 안동 지역의 사회문제를 발굴하고 함께 고민하는 중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역 이슈에 대한 안동 청년들의 솔직한 이야기를 들어보는 아무말 대잔치를 소개합니다. 청년의 목소리가 들리는, 조금은 다르게 살아도 괜찮은 안동을 만드는 이야기입니다.
주경민 캠페이너는 보호종료아동의 삶에 대한 메세지를 담아 캐릭터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주경민 캠페이너가 하고 싶은 말은 뭘까요? 어떤 마음의 변화가 생겼을까요? ‘가치가 사람들에게 전달되는 그림작업’을 하고 싶다는 그의 이야기를 전합니다.
아름다운재단의 가장 오래된 사업 중 하나는 ‘변화의시나리오 프로젝트 지원사업’입니다. 2004년 첫 공모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많은 변화를 겪으며 시민사회의 다양한 공익활동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아름다운재단 20주년을 맞아 변화의시나리오 프로젝트 사업이 어떻게 성장하고 발전했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사실 저는 디자인의 ‘디’도 모르는 간사입니다. 그림도 정말 눈코입만 그릴 수 있고요. 근데 일을 하다보니 글만으로는 부족하더라고요. 특히 이미지 기반의 포스터, 카드뉴스, 썸네일 콘텐츠가 꼭 필요한 경우가 너무 많아요. ‘기획의도를 가장 잘 아는 건 나인데, 디자인을 하기가 너무 힘들다’ 하시는 분들을 위해 우선 가장 먼저 준비해야 할 다섯가지를 챙겨드립니다.
2020 안동청년공감네트워크가 펼친 주요 활동 이야기! 이들은 청년을 중심으로 안동 지역의 사회문제를 발굴하고 함께 고민하는 중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역 이슈에 대한 안동 청년들의 솔직한 이야기를 들어보는 아무말 대잔치를 소개합니다. 청년의 목소리가 들리는, 조금은 다르게 살아도 괜찮은 안동을 만드는 이야기입니다.
하무는 많은 이들이 주목하고 관심 갖는 ‘지역에 사는 청년’이며, 그중에서도 여러 자리에 자주 호명되는 청년 중 하나다. 때문에 하무를 떠올리면 청년이란 단어가 자연스럽게 따라온다. 세대의 이름으로 한 사람을 대상화한다는 게 편하지는 않다. 단어 하나가 한 사람이 가진 수많은 결들을 쉽게 지워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청년과 하무를 떼어 놓고 생각하기란 쉽지 않다. 하무가 해 온, 그리고 지금도 하고 있는 활동에는 청년이란 이름이 늘 담겨 있기 때문이다. 청년 활동가이자 올해로 3년 차 활동가가 된 하무. 하무에게 #청년, 그리고 #센터, #지리산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
통감이 기획한 플라스틱 빨대 퇴출 프로젝트 ‘빨_대혁명’은 플라스틱 빨대로 인한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고, 친환경 빨대 사용을 독려하기 위한 프로젝트입니다. 매월 11일을 플라스틱 빨대를 쓰지 않는 ‘빨대 데이’로 정하여 친환경 일일카페, 오프라인 빅게임 형식의 오프닝 행사, 온라인 릴레이 이벤트, 친환경 축제 등 여러 가지 행사를 진행하였고, 총 1000여 명의 시민들과 함께했습니다.
‘2020 청년 자립지원꿈 지원사업’은 대학에 진학하지 않은 보호종료아동과 쉼터 퇴소 청년들에게 개별 맞춤형 경제적 지원을 기본으로 홀로하는 자립이 아닌 함께하는 사회적 관계망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일단 올 한 해 동안 시범적으로 사업을 진행한 뒤에 평가와 논의를 거쳐 장기적 사업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작은목수들은 청년들과 , 학생들이 모여 만든 작은집 모임이다. 대안적인 삶을 찾아 귀농, 귀촌하는 청년이 늘고 있지만, 지역에 기반이 없어 불안정한 주거에 의존해야 하는 청년들의 문제를 함께 해결해 보고자 올해 1월 첫 모임을 시작으로 꾸려졌다.
2019 변화의시나리오 프로젝트 사업 중 “너멍굴 영화제” 시민모임은 완주로 귀농한 청년들이 만든 영화제 입니다. 귀농청년들에게 묻는 수많은 질문 “살만하냐?”, “돈은 되냐?” 에 대한 응답으로 영화제를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시골 살이 괜찮아 ~~ ”
중랑정치학교에는 매회 약 20명의 인원이 수강하면서 성황리에 진행되었습니다. 현직 구의원을 통해 구정 현장의 목소리를 듣거나, 청년정치인의 활동, 중랑시민사회의 형성에 대해서도 들을 수 있었던 1회 차 토크 이벤트는 수강생들의 열정적인 질의가 이어졌습니다.
설문조사 결과 청소년들은 제대로 된 노동인권교육을 받지 못하였고, 그로인해 주휴수당 등 기본적인 노동법을 모르고 있는 상황이었다. 10명 중 7명 정도의 청소년들이 최저임금을 받고 있지만, 실제로 청소년들은 아르바이트를 하기 전 최저임금을 제대로 받지 못할 것에 대한 걱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주휴수당을 받지 못하고 일하는 청소년들은 80%이상이었다.
이번 사업이 진행되면서 최저임금이 청년들에게 굉장히 중요한 의미라는 것, 그리고 이 최저임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청년들의 삶을 더 나아지게 할 수 있는 방안들을 함께 모색할 수 있겠다는 새로운 기대를 가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외래어가 ‘스트레스’라는 사실을 아시나요? 특히 취업, 인간관계 등 ‘N포 세대’라 불리는 청년, 대학생들에게 스트레스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것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청년은 이 스트레스의 원인을 ‘나의 부족함 때문이다’라 생각하고 자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