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변화의시나리오 프로젝트]제주의 사람들을 닮은 제주 해안사구 지킴이 – 제주환경운동연합
제주환경운동연합은 1994년 창립 이후, 제주도의 생태계 조사를 진행해 왔습니다. 특히, 제주도 내 습지 분야는 개척자 역할을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요. 이러한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제주 해안사구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는 무엇인지, 해안사구 연구조사부터 신문연재까지 이어지는 여정을 살펴봅니다.
주경민 캠페이너는 보호종료아동의 삶에 대한 메세지를 담아 캐릭터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주경민 캠페이너가 하고 싶은 말은 뭘까요? 어떤 마음의 변화가 생겼을까요? ‘가치가 사람들에게 전달되는 그림작업’을 하고 싶다는 그의 이야기를 전합니다.
아름다운재단의 가장 오래된 사업 중 하나는 ‘변화의시나리오 프로젝트 지원사업’입니다. 2004년 첫 공모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많은 변화를 겪으며 시민사회의 다양한 공익활동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아름다운재단 20주년을 맞아 변화의시나리오 프로젝트 사업이 어떻게 성장하고 발전했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사실 저는 디자인의 ‘디’도 모르는 간사입니다. 그림도 정말 눈코입만 그릴 수 있고요. 근데 일을 하다보니 글만으로는 부족하더라고요. 특히 이미지 기반의 포스터, 카드뉴스, 썸네일 콘텐츠가 꼭 필요한 경우가 너무 많아요. ‘기획의도를 가장 잘 아는 건 나인데, 디자인을 하기가 너무 힘들다’ 하시는 분들을 위해 우선 가장 먼저 준비해야 할 다섯가지를 챙겨드립니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1994년 창립 이후, 제주도의 생태계 조사를 진행해 왔습니다. 특히, 제주도 내 습지 분야는 개척자 역할을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요. 이러한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제주 해안사구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는 무엇인지, 해안사구 연구조사부터 신문연재까지 이어지는 여정을 살펴봅니다.
연산호 모니터링, 산호 다큐영화 제작 등 강정친구들의 활동이 아름다운재단의 변화를 위한 시나리오를 통해 더욱 탄력받고 있습니다. 연산호 모니터링을 위한 정기 조사뿐만 아니라 마을 안에서 함께 지속적으로 다이빙을 통해 수중 생태를 관찰할 수 있는 연산호 모니터링단 ‘강정 다이버스’ 팀을 구성한 것인데요. 제주 바다가 아름다운 그대로 지켜질 수 있도록, 또한 시민들과 다양한 방법으로 시민을 만나기 위한 강정친구들의 노력은 계속되는 중입니다.
사람들의 마음속에 바다로 가는 길을 내고 싶었다. 우리가 준비한 장비는 고작 털실, 코바늘, 녹음기뿐이었지만, 가느다란 실이 코와 코로 엮이며 꼬불꼬불 살아나기 시작했다. 이어 “삼춘, 첫물질 나갔을 때 바닷속이 생각이 납니까?” 질문을 시작하자 할머니들의 기억이 살아났다. 그렇게 지난 1년 동안 오롯은 사람들과 어울려 산호를 뜨고, 해녀 할머니들에게 옛바다 이야기를 듣고 기록해왔다.
제주참여환경연대는 아름다운재단에 문을 두드려, 제2공항 건설에 뒤따르는 외부효과의 단면을 분석발표하고, 토론회를 개최하여 제주도 사회갈등 문제에 대한 환경적 측면에 대해 공론의 장을 만들어갈 수 있는 <연구 및 토론사업>을 제안하게 되었습니다.
변화의 시나리오 여러 단위 사업들 중 거의 유일하게 활동가 개인을 지원하는 사업이 있습니다. 다름 아닌 활동가 재충전 지원사업으로...
아름다운재단의 ‘2013 청소년 자발적 여행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제주도에서 서울로 여행을 다녀 온 11명의 청소년, 제주시청소년자활지원관 오리날다팀을 소개합니다. 저마다의 이유로 부담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