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에서On소식] 아무 말부터 시작해 보자!
2020 안동청년공감네트워크가 펼친 주요 활동 이야기! 이들은 청년을 중심으로 안동 지역의 사회문제를 발굴하고 함께 고민하는 중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역 이슈에 대한 안동 청년들의 솔직한 이야기를 들어보는 아무말 대잔치를 소개합니다. 청년의 목소리가 들리는, 조금은 다르게 살아도 괜찮은 안동을 만드는 이야기입니다.
아름다운재단의 창립 20주년을 기념하여, 기부자님들의 나눔에 담긴 마음처럼 향긋한 <나눔티>를 만들었습니다. <나눔티>의 홍보 영상을 촬영하고자 김준엽 기부자님의 가족을 모셨습니다. 가족 분들과 대면, 서면 인터뷰 진행 후 김채은양의 시점으로 인터뷰를 정리해보았습니다.
북극을 떠나 어쩌다 사막에 도착한 방곰이, 홀로 떠돌다 더위에 지쳐 쓰러지고 말았습니다. 그때, 멀리서 방곰이를 지켜보는 낯선 존재들이 다가옵니다.
산업재해보상보험법 1조에는 “근로자의 업무상 재해를 ‘신속’하고 ‘공정’하게 보상”하는 것이 산재보험의 목적이라 적혀 있다. 아름다운재단의 ‘산재보험 사각지대 해소 및 형평성 강화를 위한 연구’ 결과 지금의 산재보험은 신속하지도 공정하지도 않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2020년 아름다운재단은 산재보험에 가입조차 어려운 노동자 집단인 돌봄노동자. 농어업 노동자, 이렇게 세 집단에 주목했다.
2020 안동청년공감네트워크가 펼친 주요 활동 이야기! 이들은 청년을 중심으로 안동 지역의 사회문제를 발굴하고 함께 고민하는 중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역 이슈에 대한 안동 청년들의 솔직한 이야기를 들어보는 아무말 대잔치를 소개합니다. 청년의 목소리가 들리는, 조금은 다르게 살아도 괜찮은 안동을 만드는 이야기입니다.
지역사회에서 여성 리더와 활동가들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을까요? 여성은 지역 안에서 성공하고 성장할 충분한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까요? 2020 안동청년공감네트워크가 펼친 주요 활동을 세 번에 걸쳐 소개합니다. 이번 이야기는 경북 북부에 위치한 안동, 상주, 문경의 시민 의정참여 및 예산모임 활동에 대한 에피소드입니다.
지역사회에서 여성 리더와 활동가들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을까요? 여성은 지역 안에서 성공하고 성장할 충분한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까요? 2020 안동청년공감네트워크가 펼친 주요 활동을 세 번에 걸쳐 소개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안동 언니들의 활동과 삶에 들어보는 2020 동네대학 ‘동네언니’ 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름다운재단의 지역시민사회네트워크 지원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안동청년공감네트워크는 시 예산에 대한 시민들의 공통의 관심사를 모으는 ‘안동시민예산학교’를 열었습니다. 6주 간 시민들과 함께 안동시의 예산 및 시정에 대해 공부하며 기록한 이야기를 공유합니다.
안동청년공감네트워크는 지방소멸 시대에 지속가능한 청년 네트워크를 발굴하고 지원하여 청년공동체를 형성하고 지역에 활력을 불어 넣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주어진 대로 살기보다 조금은 다르게 살고 싶은 우리’를 모토로 안동뿐만 아니라 경북 북부 지역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스스로와 지역 사회의 변화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2019년 5월 31일, 아름다운재단에 안동 청년들이 방문했는데요, 안동 청년들이 방문한 이유는 아름다운재단과 함께 협약을 맺기 위해서입니다! 어떤 협약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