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경민프로젝트] 2화_어쩌다 사막에 간 숨펭
외모가 달라 힘들어하던 숨펭이는 정들었던 무리를 떠나기로 합니다. 숨펭이의 여정을 따라가볼까요?
아름다운재단의 창립 20주년을 기념하여, 기부자님들의 나눔에 담긴 마음처럼 향긋한 <나눔티>를 만들었습니다. <나눔티>의 홍보 영상을 촬영하고자 김준엽 기부자님의 가족을 모셨습니다. 가족 분들과 대면, 서면 인터뷰 진행 후 김채은양의 시점으로 인터뷰를 정리해보았습니다.
북극을 떠나 어쩌다 사막에 도착한 방곰이, 홀로 떠돌다 더위에 지쳐 쓰러지고 말았습니다. 그때, 멀리서 방곰이를 지켜보는 낯선 존재들이 다가옵니다.
산업재해보상보험법 1조에는 “근로자의 업무상 재해를 ‘신속’하고 ‘공정’하게 보상”하는 것이 산재보험의 목적이라 적혀 있다. 아름다운재단의 ‘산재보험 사각지대 해소 및 형평성 강화를 위한 연구’ 결과 지금의 산재보험은 신속하지도 공정하지도 않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2020년 아름다운재단은 산재보험에 가입조차 어려운 노동자 집단인 돌봄노동자. 농어업 노동자, 이렇게 세 집단에 주목했다.
외모가 달라 힘들어하던 숨펭이는 정들었던 무리를 떠나기로 합니다. 숨펭이의 여정을 따라가볼까요?
잠이 많은 북극곰, 방곰이의 터전이 녹아내리기 시작합니다. 하염없이 떠내려가는 방곰이는 어떤 선택을 할까요?
‘보육원 출신’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 혹시 나쁜 길로 빠지는 범죄자 또는 억척스럽게 살아가는 캔디 같은 이미지가 떠오르지는 않으신가요? 오늘은 드라마를 만드는 작가님의 말 한마디를 전해드립니다.
아름다운재단은 대학생교육비지원사업을 통해 꿈을 향해 달려가는 열여덟 어른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아름다운재단의 문을 두드렸던 장학생들은 자신을 지지하고 응원하는 사람들을 통해 힘을 얻었다고 말합니다. 오늘은 장학생의 마음을 울렸던 면접 심사위원님의 말말말을 전해드립니다.
보호종료 당사자인 청년들과 함께 아동양육시설 아동들을 대상으로 자립 강연을 진행하는 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제 삶과 관점을 담은 에세이를 전해드리려 해요. 평범한, 보통의 청춘들의 삶이 전해질 수 있기를 바라며, 지금 시작합니다.
매년 2,500명의 보호종료아동이 세상에 나옵니다. ‘보호종료’라는 시기를 겪었던 선배들은 어떤 삶을 살아가고 있을까요? 또 그 시기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요? 오늘은 14년전에 퇴소한 보호종료아동의 한마디를 전해드립니다.
갈 곳이 없어 도서관에서 한 달을 지냈던 이야기, 지하철로 1시간 거리를 5번 왕복하며 이삿짐을 옮겼던 이야기, 포기하고 싶었던 순간 기적적으로 후원자님을 만났던 이야기 등 자립과정에 있었던 이야기를 나눠준 보호종료아동 당사자들이 있습니다. 바로 신선 인터뷰 프로젝트에 함께해준 인터뷰이들입니다. 이들은 어떤 마음으로 용기를 내었을까요?
지난 8월, 아름다운재단으로 열여덟 어른들이 온기가 가득한 집에서 홀로서기를 시작할 수 있도록 돕고 싶다는 인테리어 재능기부 문의가 왔습니다. 이번 재능기부를 위해 ‘꿈꾸는집’ ‘헤이스홈’ ‘리타홈’ 3개 인테리어 디자인&홈스타일링 업체가 나눔의 뜻을 모아주셨습니다. 나눔이 가장 필요한 열여덟 어른을 찾던 중, 올해 유난히 길었던 장마와 잦은 태풍으로 피해를 입은 열여덟 어른 이수연(23, 가명) 씨를 만나게 되었습니다.
충남외국어고등학교 학생들로부터 기분 좋은 메일이 하나 왔습니다. 아름다운재단 굿즈를 활용한 교내 캠페인을 진행하고, 모은 기부금을 아름다운재단에 기부하고 싶다는 내용이었는데요. 굿즈를 지원해 드리고 얼마 후, 기부금과 함께 캠페인을 성황리에 마쳤다는 소식을 보내주셨습니다! 그 주인공인 김승희, 김예린 기부자님을 인터뷰해보았습니다!
보호종료 당사자인 청년들과 함께 아동양육시설 아동들을 대상으로 자립 강연을 진행하는 의 막이 올랐습니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제 삶과 관점을 담은 에세이를 전해드리려 해요. 평범한, 보통의 청춘들의 삶이 전해질 수 있기를 바라며, 지금 시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