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대학생 교육비 지원사업] 성과연구 연구진 인터뷰
지난 20년간 진행되어 온 아름다운재단 대학생 교육비 지원사업은 어떤 변화를 만들어냈을까요? 아동권리보장원 아동정책평가센터가 2020년 5월부터 12월까지 6개월여에 걸쳐 문헌조사, 양적연구, 질적연구 FGI,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진행한 연구결과를 공유드립니다.
주경민 캠페이너는 보호종료아동의 삶에 대한 메세지를 담아 캐릭터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주경민 캠페이너가 하고 싶은 말은 뭘까요? 어떤 마음의 변화가 생겼을까요? ‘가치가 사람들에게 전달되는 그림작업’을 하고 싶다는 그의 이야기를 전합니다.
아름다운재단의 가장 오래된 사업 중 하나는 ‘변화의시나리오 프로젝트 지원사업’입니다. 2004년 첫 공모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많은 변화를 겪으며 시민사회의 다양한 공익활동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아름다운재단 20주년을 맞아 변화의시나리오 프로젝트 사업이 어떻게 성장하고 발전했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사실 저는 디자인의 ‘디’도 모르는 간사입니다. 그림도 정말 눈코입만 그릴 수 있고요. 근데 일을 하다보니 글만으로는 부족하더라고요. 특히 이미지 기반의 포스터, 카드뉴스, 썸네일 콘텐츠가 꼭 필요한 경우가 너무 많아요. ‘기획의도를 가장 잘 아는 건 나인데, 디자인을 하기가 너무 힘들다’ 하시는 분들을 위해 우선 가장 먼저 준비해야 할 다섯가지를 챙겨드립니다.
지난 20년간 진행되어 온 아름다운재단 대학생 교육비 지원사업은 어떤 변화를 만들어냈을까요? 아동권리보장원 아동정책평가센터가 2020년 5월부터 12월까지 6개월여에 걸쳐 문헌조사, 양적연구, 질적연구 FGI,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진행한 연구결과를 공유드립니다.
아동복지시설 퇴소 청년들은 또래보다 빨리 자립을 하며 더 많은 어려움을 겪습니다. 마땅히 상의할 사람도 없는 상황인 경우가 많지요. 이에 아름다운재단은 2019년부터는 선배 장학생들이 ‘길잡이’가 되어 지속적으로 사업에 참여하는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길잡이는 강사가 되어 자립 정보나 경험을 나누기도 하고, 주제별 프로젝트 활동에도 후배들과 함께 참여합니다.
아름다운재단 대학생 교육비 지원사업인 . 2020년 한해 동안 2020년 한해 동안에는 기자단팀, 나눔팀, 영상제작팀, 프로그램기획팀, 홍보디자인팀이 지난해에 이어 2년 차 활동을 이어갔습니다. 코로나 상황으로 어려움이 있었지만 7개 팀은 올해도 함께 만든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결과를 만들어가는 과정에서의 배움과 관계 안에서의 작은 변화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아름다운재단 대학생 교육비 지원사업은 장학생 간 교류와 폭넓은 삶의 선택권을 지지하는 사업입니다. 2020년에는 코로나 상황에서도 기자단팀, 나눔팀, 영상제작팀, 프로그램 기획팀, 홍보디자인팀 등으로 나뉘어 여러 활동을 진행했는데요. 협업활동의 과정에서 사업 참여자들이 경험한 변화의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어릴 때 그림이 좋아 빈칸이 있는 곳이면 어디든 그림을 그렸다는 차민 씨. 그는 미술 장학생으로서의 경험, 자신의 재능을 알아봐준 은사님을 만나며 미대의 진학해 자신의 꿈을 키워갔습니다. 이 과정에서 아름다운재단의 지원사업은 그에게 같은 꿈을 꾸는 친구들과의 만남을 선물했고, 그림에 대한 열정을 키우며 새로운 길로 향하는 신호탄이 됐습니다.
아름다운재단 대학생 교육비 지원사업에 선정된 유정훈 씨. 그는 탁월한 성실함으로 꾸준히 공부해왔고, 항공정비학이라는 전공을 선택해 자신만의 뚜렷한 진로를 걸어왔습니다. 항공산업기사, 항공정비사 면장 등 눈앞에 놓인 도전에 참여하며 그만의 꾸준한 길을 걷는 데는 아름다운재단과 인연을 맺게 된 힘이 컸습니다.
권지효(가명) 씨와 김현우(가명) 씨는 아름다운재단 대학생 교육비 지원사업의 단기 어학연수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올 여름 두 달간 캐나다 단기 어학연수를 다녀왔다. 현우 씨는 밴쿠버에서 지효 씨는 토론토에서 생활하면서, 낮에는 어학원에서 열심히 수업을 듣고 틈틈이 친구들과 주요 명소도 다녀왔다.
주얼리디자인 전공을 선택하던 4년 전의 이현주(가명) 씨는 말 그대로 아무 것도 몰라서 용감했다. 그저 직접 예쁜 주얼리들을 만드는 게 좋았을 뿐 디자인 공부에 이렇게 돈이 많이 드는 줄은 꿈에도 몰랐다. 부모님 없이 사회의 돌봄을 받다가 자립한 현주 씨가 이렇게 무사히 학업을 마치고 디자이너로 자라나는 과정에는 아름다운재단 대학생 교육비 지원사업이 있었다.
김재혁(가명) 씨는 매우 반듯한 젊은이였다. 인터뷰에 앞서 다시 한 번 질문지를 꼼꼼히 읽었고, 질문에는 번번이 “맞습니다”라고 예의바른 맞장구를 쳤다. 자신의 ‘기술경영’ 전공을 설명할 때는 마치 공식 발표를 하듯 “전통적인 경영학과 더불어 4차 산업혁명에 따라서”라고 문어체 문장을 사용했다. 답변 도중 “다시 할게요”라고 멈춘 뒤 신중히 말을 가다듬기도 했다.
작은변화프로젝트를 통해 바랬던 건 성공적인 결과물이 아닌 비록 실패하더라도 스스로 만들어가는 활동을 통해 배우게 되는 ‘함께 만든 작은 변화’였습니다. 아름다운재단 장학생들은 2019년 한해 어떤 변화를 만들었을까요? 지금부터 소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