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변화의시나리오 스폰서 지원사업] ‘브레이크 더 드림팀: 드림타워의 문제점을 추적하다’ – (사)제주참여환경연대
한라산의 아름다운 풍경을 거침없이 막아선 드림타워. ‘드림타워로 인한 도민의 피해와 권리침해문제, 이를 알리고 구제할 방법은 없을까?’에 대한 고민 끝에 제주참여환경연대는 시민연구팀 <브레이크 더 드림팀>을 모집하여 드림타워의 각종 문제점을 모니터링해 알리는 사업을 진행했습니다.
직장갑질119는 직장인들이 겪는 다양한 직장갑질 문제를 공론화하기 위해 150명의 노무사, 변호사, 노동단체 활동가들이 만든 민간 공익단체입니다. 노동조합 가입이 어려운 직장인들을 온라인 직종별 모임을 통해 모으고, 노동조합 밖 노동자들의 목소리를 전하고 있어요. 저희는 카카오톡 오픈채팅과 이메일을 통해 직장인들의 이야기를 듣고, 상담을 하고 있습니다.
어린이 평화교육 첫 만남에서 초등학생들에게 던진 질문에 대한 답이다. 내용은 다르지만 모두 관계에서 오는 어려움과 즐거움이었다. 지나치게 선을 넘거나 관계의 단절에 대한 걱정과 염려가 있었다. 관계가 너무 가까워져도 또 너무 멀어져도 힘들고 괴롭다.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곳은 교실이다.
BDS운동은 보이콧, 투자철회, 제재(Boycott, Divestment, Sanctions)의 영문 앞글자를 딴 이름인데요. 팔레스타인의 자유와 평화를 일구는 특별한 연대 방법이랍니다. 이스라엘에 대한 BDS운동은 끝나지 않을 것 같던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인종차별정책인 아파르트헤이트를 종식시키는 데에도 큰 역할을 한 비폭력운동에서 영감을 얻어 시작되었습니다.
한라산의 아름다운 풍경을 거침없이 막아선 드림타워. ‘드림타워로 인한 도민의 피해와 권리침해문제, 이를 알리고 구제할 방법은 없을까?’에 대한 고민 끝에 제주참여환경연대는 시민연구팀 <브레이크 더 드림팀>을 모집하여 드림타워의 각종 문제점을 모니터링해 알리는 사업을 진행했습니다.
부산반빈곤센터는 아름다운재단의 변화의시나리오 스폰서 지원사업을 통해 지난 7월부터 11월까지 사업을 펼쳤습니다. 1) 기초생활보장 상담사 양성 스터디, 2) 비수급 빈곤층 현장상담, 3) 제도개선 캠페인 및 기자회견, 4) 권리찾기 교육으로 나누어서 진행되었습니다. 코로나 상황에서도 최선을 다해 전개했던 사업 내용을 전합니다.
한빛미디어노동인권센터는 아름다운재단의 ‘2020 변화의시나리오 스폰서’ 지원사업을 통해서 상담사례집을 발간했습니다. 상담사례집에는 2018년부터 운영된 미디어신문고로 들어 온 제보를 유형별로 정리해서 방송미디어 분야의 특수성이 반영될 수 있도록 대표적인 사례들이 담겨 있습니다.
아름다운재단 ‘변화의시나리오 스폰서 지원사업’은 사업명에 드러나듯이 공익단체의 활동에 ‘스폰서’가 되기위한 지원사업입니다. 시민사회의 시의성있는 단기 프로젝트 지원을 위해 다양한 사업들이 펼쳐지고 있는데요. 2020년 9월 ‘스폰서 지원사업’의 선정단체인 탈핵법률가모임 해바라기에서 활동한 내용을 전해드립니다.
변화의시나리오 지원사업과 함께한 2020년에는 지금도 쉽게 떠올릴 수 있을 만큼 인상적인 장면이 많았다. 치열하게 회의하는 활동가, 연기를 어색해하던 변호사, 불같은 열정으로 촬영 현장을 진두지휘하던 잇다팀, 세월의 흔적을 느낄 수 있었던 시민모임 기록 창고 등… 그 가운데 인상적이면서도 가슴에 남는 장면은 양금덕 할머니 댁을 방문했던 기억이다.
시민들과 함께 새로운 시도 2020년 한 해는 ‘코로나19와의 투쟁’이었다는 말로 갈음할 수 있을 듯합니다. 많은 단체들이 팬데믹 시대에...
해외입양인네트워크는 ‘변화의시나리오’를 통해 알려지지 않았던 해외 입양인의 현실을 알렸다. 당사자의 목소리를 내기 위해 강연, 워크숍, 책 발간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했으며 케어팜이라는 해외 입양인들의 커뮤니티 공간도 운영 중이다. 앞으로는 한국을 넘어 전 세계의 해외 입양인과의 연대를 통해 해외 입양의 문제를 알리고 제도적인 개선 방안을 만들어갈 계획이다.
교사로 활발하게 사회참여 중이신 시각장애인이시고 광학문자판독기와 화면낭독SW 센스원을 지원받으셨습니다.
콘텐츠 홍수의 시대입니다. 올해는 코로나19로 콘텐츠 시청하는 시간이 더 많아졌을 것 같은데요. 여가를 보내기 위해 콘텐츠를 시청하지만 그 시간이 마냥 즐겁기만 한 건 아닙니다. 얼굴 찌푸리지 않고, 불편해 하지 않고 콘텐츠를 즐기고 싶은 페미니스트들과 함께 [미디어X페미니즘] 오늘의 질문, 내일의 변화 활동을 진행했습니다.
청년 자립정착꿈 지원사업은 멘토링을 기반으로 이뤄졌습니다. 건강한 어른의 모델인 멘토를 통한 정서적 지지와 긍정적 사고가 건강한 자립에 중요한 토대가 되길 바랐기 때문이죠 그 바람은 어떤 성과를 거두었을까요? 멘토, 멘티를 만나 이야기를 들어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