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청년 자립정착꿈 지원사업] ‘홀로’가 아닌 ‘함께’하는 건강한 자립
‘청년 자립정착꿈 지원사업’은 ‘사각지대의 사각지대’에 있는 보호종료청년의 진로에 주목했습니다. 대학에 진학하지 않은 보호종료 비진학 청년들의 자립을 위한 다양한 꿈을 서포트 하며, 준비되지 않은 자립으로 우여곡절을 겪는 청년이 진로를 변경하거나 도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야기와예술워크숍에서는 예술 활동을 통하여 구한말 실존한 유민의 삶을 조명하며 국내 난민의 위치를 감각하며 연대의 의미를 돌아볼 수 있는 난민에 대한 시민의 인식변화를 의도했다. 예상치 못한 코로나19 상황이 지속되며 대면워크숍을 불가피하게 동영상으로 제작하게 되었다.
코로나19 확산이라는 예상치 못한 상황에 맞닥뜨리게 되어 중앙집중식 교육 문제를 해결 할 여러 가지 방안을 찾던 중, 여성농민 지혜모으기 대회를 할 때 교육도 같이 해주면 좋겠다는 요청이 있어서 지역으로 직접 찾아가 교육하기로 하였고, 토종농사 전문가 기본교육과 여성농민 지혜모으기 대회가 같이 열리게 되었습니다.
청년 자립정착꿈 지원사업은 멘토링을 기반으로 이뤄졌습니다. 건강한 어른의 모델인 멘토를 통한 정서적 지지와 긍정적 사고가 건강한 자립에 중요한 토대가 되길 바랐기 때문이죠 그 바람은 어떤 성과를 거두었을까요? 멘토, 멘티를 만나 이야기를 들어보았습니다.
‘청년 자립정착꿈 지원사업’은 ‘사각지대의 사각지대’에 있는 보호종료청년의 진로에 주목했습니다. 대학에 진학하지 않은 보호종료 비진학 청년들의 자립을 위한 다양한 꿈을 서포트 하며, 준비되지 않은 자립으로 우여곡절을 겪는 청년이 진로를 변경하거나 도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지난 20년간 진행되어 온 아름다운재단 대학생 교육비 지원사업은 어떤 변화를 만들어냈을까요? 아동권리보장원 아동정책평가센터가 2020년 5월부터 12월까지 6개월여에 걸쳐 문헌조사, 양적연구, 질적연구 FGI,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진행한 연구결과를 공유드립니다.
아동복지시설 퇴소 청년들은 또래보다 빨리 자립을 하며 더 많은 어려움을 겪습니다. 마땅히 상의할 사람도 없는 상황인 경우가 많지요. 이에 아름다운재단은 2019년부터는 선배 장학생들이 ‘길잡이’가 되어 지속적으로 사업에 참여하는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길잡이는 강사가 되어 자립 정보나 경험을 나누기도 하고, 주제별 프로젝트 활동에도 후배들과 함께 참여합니다.
아름다운재단 대학생 교육비 지원사업인 . 2020년 한해 동안 2020년 한해 동안에는 기자단팀, 나눔팀, 영상제작팀, 프로그램기획팀, 홍보디자인팀이 지난해에 이어 2년 차 활동을 이어갔습니다. 코로나 상황으로 어려움이 있었지만 7개 팀은 올해도 함께 만든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결과를 만들어가는 과정에서의 배움과 관계 안에서의 작은 변화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아름다운재단 대학생 교육비 지원사업은 장학생 간 교류와 폭넓은 삶의 선택권을 지지하는 사업입니다. 2020년에는 코로나 상황에서도 기자단팀, 나눔팀, 영상제작팀, 프로그램 기획팀, 홍보디자인팀 등으로 나뉘어 여러 활동을 진행했는데요. 협업활동의 과정에서 사업 참여자들이 경험한 변화의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어릴 때 그림이 좋아 빈칸이 있는 곳이면 어디든 그림을 그렸다는 차민 씨. 그는 미술 장학생으로서의 경험, 자신의 재능을 알아봐준 은사님을 만나며 미대의 진학해 자신의 꿈을 키워갔습니다. 이 과정에서 아름다운재단의 지원사업은 그에게 같은 꿈을 꾸는 친구들과의 만남을 선물했고, 그림에 대한 열정을 키우며 새로운 길로 향하는 신호탄이 됐습니다.
아름다운재단 대학생 교육비 지원사업에 선정된 유정훈 씨. 그는 탁월한 성실함으로 꾸준히 공부해왔고, 항공정비학이라는 전공을 선택해 자신만의 뚜렷한 진로를 걸어왔습니다. 항공산업기사, 항공정비사 면장 등 눈앞에 놓인 도전에 참여하며 그만의 꾸준한 길을 걷는 데는 아름다운재단과 인연을 맺게 된 힘이 컸습니다.
지역파트너 기획인터뷰 마지막 순서는 ‘진주교육공동체 결(이하 진주결)’입니다. 진주결은 ‘교육의 책임을 함께 나누자’는 목적으로 진주 내 청소년, 교사, 학부모, 지역주민 등 다양한 주체가 함께 모여 만든 단체로, 2019년부터 내일상상프로젝트 협업파트너로 함께 하고 있습니다. 프로그램 기획부터 퍼실리테이터, 멘토 등 다양한 역할을 나누어 맡고 있는 파트너들의 이야기를 전합니다.
두 번째 기획 인터뷰의 주인공은 남원에서 <내일상상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춘향골교육공동체’입니다. 중학교 청소년의 작은 변화를 지켜보며 진로 탐색의 의미를 다시 생각하고 있다는 춘향골 길잡이 교사의 이야기를 전합니다.
청소년들의 곁에서 진로 탐색의 길잡이가 되어주는 교사들의 이야기를 전합니다. 지역에서 직접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지역기관 실무자들은 청소년 당사자만큼이나 중요한 파트너입니다. 때론 청소년 자신도 알지 못하는 사소한 변화의 순간까지 발견하기도 하죠. 첫 시작은 지리산마을교육공동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