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청년 자립정착꿈 지원사업] ‘홀로’가 아닌 ‘함께’하는 건강한 자립
‘청년 자립정착꿈 지원사업’은 ‘사각지대의 사각지대’에 있는 보호종료청년의 진로에 주목했습니다. 대학에 진학하지 않은 보호종료 비진학 청년들의 자립을 위한 다양한 꿈을 서포트 하며, 준비되지 않은 자립으로 우여곡절을 겪는 청년이 진로를 변경하거나 도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아름다운재단의 창립 20주년을 기념하여, 기부자님들의 나눔에 담긴 마음처럼 향긋한 <나눔티>를 만들었습니다. <나눔티>의 홍보 영상을 촬영하고자 김준엽 기부자님의 가족을 모셨습니다. 가족 분들과 대면, 서면 인터뷰 진행 후 김채은양의 시점으로 인터뷰를 정리해보았습니다.
북극을 떠나 어쩌다 사막에 도착한 방곰이, 홀로 떠돌다 더위에 지쳐 쓰러지고 말았습니다. 그때, 멀리서 방곰이를 지켜보는 낯선 존재들이 다가옵니다.
산업재해보상보험법 1조에는 “근로자의 업무상 재해를 ‘신속’하고 ‘공정’하게 보상”하는 것이 산재보험의 목적이라 적혀 있다. 아름다운재단의 ‘산재보험 사각지대 해소 및 형평성 강화를 위한 연구’ 결과 지금의 산재보험은 신속하지도 공정하지도 않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2020년 아름다운재단은 산재보험에 가입조차 어려운 노동자 집단인 돌봄노동자. 농어업 노동자, 이렇게 세 집단에 주목했다.
‘청년 자립정착꿈 지원사업’은 ‘사각지대의 사각지대’에 있는 보호종료청년의 진로에 주목했습니다. 대학에 진학하지 않은 보호종료 비진학 청년들의 자립을 위한 다양한 꿈을 서포트 하며, 준비되지 않은 자립으로 우여곡절을 겪는 청년이 진로를 변경하거나 도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지난 20년간 진행되어 온 아름다운재단 대학생 교육비 지원사업은 어떤 변화를 만들어냈을까요? 아동권리보장원 아동정책평가센터가 2020년 5월부터 12월까지 6개월여에 걸쳐 문헌조사, 양적연구, 질적연구 FGI,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진행한 연구결과를 공유드립니다.
아동복지시설 퇴소 청년들은 또래보다 빨리 자립을 하며 더 많은 어려움을 겪습니다. 마땅히 상의할 사람도 없는 상황인 경우가 많지요. 이에 아름다운재단은 2019년부터는 선배 장학생들이 ‘길잡이’가 되어 지속적으로 사업에 참여하는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길잡이는 강사가 되어 자립 정보나 경험을 나누기도 하고, 주제별 프로젝트 활동에도 후배들과 함께 참여합니다.
아름다운재단 대학생 교육비 지원사업인 . 2020년 한해 동안 2020년 한해 동안에는 기자단팀, 나눔팀, 영상제작팀, 프로그램기획팀, 홍보디자인팀이 지난해에 이어 2년 차 활동을 이어갔습니다. 코로나 상황으로 어려움이 있었지만 7개 팀은 올해도 함께 만든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결과를 만들어가는 과정에서의 배움과 관계 안에서의 작은 변화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아름다운재단 대학생 교육비 지원사업은 장학생 간 교류와 폭넓은 삶의 선택권을 지지하는 사업입니다. 2020년에는 코로나 상황에서도 기자단팀, 나눔팀, 영상제작팀, 프로그램 기획팀, 홍보디자인팀 등으로 나뉘어 여러 활동을 진행했는데요. 협업활동의 과정에서 사업 참여자들이 경험한 변화의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어릴 때 그림이 좋아 빈칸이 있는 곳이면 어디든 그림을 그렸다는 차민 씨. 그는 미술 장학생으로서의 경험, 자신의 재능을 알아봐준 은사님을 만나며 미대의 진학해 자신의 꿈을 키워갔습니다. 이 과정에서 아름다운재단의 지원사업은 그에게 같은 꿈을 꾸는 친구들과의 만남을 선물했고, 그림에 대한 열정을 키우며 새로운 길로 향하는 신호탄이 됐습니다.
아름다운재단 대학생 교육비 지원사업에 선정된 유정훈 씨. 그는 탁월한 성실함으로 꾸준히 공부해왔고, 항공정비학이라는 전공을 선택해 자신만의 뚜렷한 진로를 걸어왔습니다. 항공산업기사, 항공정비사 면장 등 눈앞에 놓인 도전에 참여하며 그만의 꾸준한 길을 걷는 데는 아름다운재단과 인연을 맺게 된 힘이 컸습니다.
“지능검사에서 70 이하인 경우 지적장애등급을 받아요. 85부터 평균범주에 들어가고요. 경계선지능은 바로 그 사이, 71부터 84까지 해당합니다. 최근엔 그 대상자들을 ‘느린 학습자’라고 부르는데, 이들은 공부할 때도 일할 때도 많이 느려요. 이들과 만나기 위해 가장 필요한 태도가 ‘기다림’입니다. 그저 느릴 뿐이기에 그 속도에 맞춰 머물러주는 게 다른 무엇보다 우선하죠.”
‘2020 청년 자립지원꿈 지원사업’은 대학에 진학하지 않은 보호종료아동과 쉼터 퇴소 청년들에게 개별 맞춤형 경제적 지원을 기본으로 홀로하는 자립이 아닌 함께하는 사회적 관계망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일단 올 한 해 동안 시범적으로 사업을 진행한 뒤에 평가와 논의를 거쳐 장기적 사업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권지효(가명) 씨와 김현우(가명) 씨는 아름다운재단 대학생 교육비 지원사업의 단기 어학연수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올 여름 두 달간 캐나다 단기 어학연수를 다녀왔다. 현우 씨는 밴쿠버에서 지효 씨는 토론토에서 생활하면서, 낮에는 어학원에서 열심히 수업을 듣고 틈틈이 친구들과 주요 명소도 다녀왔다.